논어(論語)/대성전에 모셔진 성현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문십철 4) 제공 재여 孔門十哲 4. 제공 재여(齊公 宰予, BC 522 - BC 458) 서배향(西配享) 제2위(第二位) 공자의 제자로 춘추 말엽 노나라 사람이다. 재(宰)씨이고 이름은 여(予)이며 자는 자아(子我)인데, 재아(宰我)로 칭하기도 한다. 노나라 소공 20년에 출생하여 주(周) 정왕(定王) 11년에 졸(卒)하였으며, 공자보다 29세가 적다. 가.. 더보기 공문십철 3) 설공 염옹 孔門十哲 3. 설공 염옹(薛公 冉雍, BC 522 - ?) 동배향(東配享) 제2위(第二位) 춘추 말엽의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중궁이며 공자보다 29세가 적은 공자의 제자이다. 출신이 매우 한미(寒微)하였으며 염백우(伯牛) 염유(有)와 동종(同宗)이다. 일찍이 공자를 스승으로 따르면서 열국을 주유하였으나 사적이 분.. 더보기 공문십철 2) 운공 염경 孔門十哲 2. 운공 염 경(鄆公 冉耕, BC 544 - ?) 서배향(西配享) 제1위(第一位) 공자의 제자로 성은 염씨이고 이름은 경이며 자는 백우(伯牛)이다. 춘추 말엽 노나라 사람으로 노나라 양공 29년에 태어났으나 졸년은 자세하지 않으며, 공자보다 7세가 적다. 출신이 빈한하였고 염옹(雍)과는 동종(同宗)이다. 공.. 더보기 공문십철 1) 비공 민손 孔門十哲 1. 비공민손(費公閔損, BC 536 - BC 487) 동배향(東配享) 제1위(第一位) 춘추 말엽의 노나라 사람인 민손은 자가 자건(子騫)으로 공자보다 15세가 적은 공자의 제자이다. 출신이 빈한하였으며 생모가 일찍 죽고 아버지가 재취하여 두 아들을 낳았는데 계모는 민손을 심하게 학대하였다. 집안 사정이.. 더보기 대성전에 모셔진 분(5. 맹자) 五聖位 (5) ● 추국 아성공 맹자(鄒國 亞聖公 孟子, BC 372 - 289) 서배향(西配享) 제2위(第二位) 전국시대 사상가이자 정치가, 교육가로 유가학파의 대표적인 사람이다. 성은 맹(孟), 이름이 가(軻)이며, 자는 자거(子車) 또는 자여(子輿)로 노나라 추읍(鄒邑) 사람이다. 아버지는 맹손격(孟孫激)이고 어머니는.. 더보기 대성전에 모셔진 분(4. 자사자) 五聖位 (4) ● 기국 술성공 자사자(沂國 述聖公 子思, B. C 483?-B.C 402) 동배향(東配享) 제2위(第二位)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이자 유가학파의 중요한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성은 공(孔) 이름은 급(伋) 자는 자사(子思)로 공자의 적손이다. 대략 주나라 경왕 37년에 태어나서 주나라 위열왕 24년.. 더보기 대성전에 모셔진 분(3. 증자) 五聖位 (3) ● 성국 종성공 증자(郕國宗聖公曾子, BC 505 - 432) 서배향(西配享) 제1위(第一位) 공자의 제자로 춘추 말엽 노나라 남무성(南武城) 사람이다. 성은 증(曾)이고 이름은 삼(參)이며 자는 자여(子輿)이다. 추존하여 증자(曾子)라고 하였으며 공자보다 46세가 적다. 집안은 몰락한 귀족으로 빈한하였.. 더보기 대성전에 모셔진 분(2. 안자) 五聖位 (2) ● 연국 복성공 안자(兗國 復聖公 顔子, B.C 521 - B.C 481) 동배향(東配享) 제1위(第一位) 공자의 제자로 춘추 말엽 노(魯)나라 사람이다. 성은 안(顔)이고 이름은 회(回)이며 자가 자연(子淵)이기 때문에 안연(顔淵)으로도 일컬어진다. 노 소공(昭公)21년에 출생하여 애공(哀公) 14..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