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論語)/대성전에 모셔진 성현

송조육현 2) 예국공 정호 宋朝六賢 2. 예국공 정호(豫國公 程顥, 1032 - 1085) 서배향(西配享) 제6위(第六位) 북송 때의 저명한 철학가로 '북송오자'중의 한 사람이며, 송 명리학 창시자 중 한 사람이다. 자는 백순(伯淳)인데 세칭 '명도선생(明道先生)'이라고 하였으며, 하남(河南) 낙양(洛陽)사람으로 송 인종 명도(明道) 원년(1032)에 .. 더보기
송조육현 1) 도국공 주돈이 宋朝六賢 1. 도국공 주돈이(道國公 周敦頣, 1017 - 1073) 동배향(東配享) 제6위(第六位) 북송 때의 철학가로 '북송오자(北宋五子)'중의 한 사람이다. 본래의 이름은 돈실(敦實)인데 영종의 구휘(舊諱)를 피하여 돈이로 고쳤다고 한다. 자는 무숙(茂叔)이다. 도주(道州)의 영도(營道)사람으로 송나라 진종 천희 .. 더보기
공문십철 10) 영천후 전손사 孔門十哲 10. 영천후 전손사(潁川侯 顓孫師) 서배향(西配享) 제5위(第五位) 전손사는 성이 전손이고 이름이 사이며 자는 자장이다. 진나라 사람으로 공자보다 48세가 적은 공자의 제자이다. 『여씨춘추』에는 "노지비가(魯之鄙家)"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출신이 매우 천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공자.. 더보기
공문십철 9) 위공 복상 孔門十哲 9. 위공 복상(魏公 卜商, BC 507? - ?) 동배향(東配享) 제5위(第五位) 복상(卜商)은 성이 복(卜), 이름이 상(商)이며, 자는 자하(子夏)이다. 위나라 사람으로 공자보다 44세가 적은 공자의 제자이다. 자하는 출신이 빈한하였으나 재물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로 인해 만년에 강학을 열어 배우는 .. 더보기
공문십철 8) 오공 언언 孔門十哲 8. 오공 언언(吳公 言偃, BC 506 - ?) 서배향(西配享) 제4위(第四位) 언언(言偃)은 성이 언(言), 이름이 언(偃)이며 자는 자유(子游)이다. 오(吳)나라 사람으로 공자보다 45세가 적은 공자의 제자이다. 『공자가어』에는 노인(魯人)으로 공자보다 35세 적다고 되어있다. 자유는 공자가 열국을 주유한 .. 더보기
공문십철 7) 위공 중유 孔門十哲 7. 위공 중유(衛公 仲由, BC 542 - BC 480) 동배향(東配享) 제4위(第四位) 춘추 말엽의 노국인(魯國人)으로 성은 중(仲) 이름이 유(由)이며 자는 자로(子路)이나 계로(季路)로 쓰기도 한다. 출신이 한미 하였으며, 공자보다 9세가 적은 공자의 제자이다. 자로는 젊었을 때 웅계(雄鷄: 용병을 상징하는 .. 더보기
공문십철 6) 서공 염구 孔門十哲 6. 서공 염구(徐公 冉求, BC 522 - ?) 서배향(西配享) 제3위(第三位) 공자의 제자로 춘추시대 말엽 노나라 사람이다. 염씨이며 이름은 구(求)이고 자는 자유(子有)인데, 염유(有)로 일컫기도 한다. 노 소공 12년에 출생하였으나 졸년은 자세하지 않으며 공자보다 29세가 적다. 출신은 한미 했으며 중.. 더보기
공문십철 5) 여공 단목사 孔門十哲 5. 여공 단목사(黎公 端木賜, BC 520 - ?) 동배향(東配享) 제3위(第三位) 춘추 말엽의 위국인(衛國人)으로 성은 단목(端木)이며, 이름은 사(賜)이고, 자는 자공(子貢)이며, 공자보다 31세 적은 공자의 제자이다. 출신이 한미(寒微)하여 청년시기에 곧 상업 활동을 하였다. 공자가 열국을 주유(周遊)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