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대성전에 모셔진 성현 썸네일형 리스트형 석전제 - 성균관 - □ 석전의 유래와 의의 1. 석전의 의의(意義) 석전(釋奠)은 문묘에서 공자(孔子)를 비롯한 선성선현(先聖先賢)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을 일컫는다. 석전은 선성과 선현들의 학문과 인격과 덕행과 사상을 단순한 이론으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이를 숭모(崇慕)하고 존중히 여기며 스.. 더보기 동방18현 16) 문정공 송시열 16.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1607 - 1689) 서배향(西配享) 제8위(第八位) 우암 사실기 重菴先生文集○別集 事實記 205.pdf 아명은 성뢰(聖賚), 자는 영보(英甫)이며, 호는 우암(尤庵), 본관은 은진이다. 8세 때부터 친척인 송준길의 집에서 함께 공부했으며, 후에 김장생과 그의 아들인 김집.. 더보기 동방 18현 17) 문정공 송준길 17. 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 1606 - 1672) 동배향(東配享) 제9위(第九位) 동춘당 송준길 유사 - 송자대전 212권.pdf 자는 명보(明甫), 호는 동춘당(同春堂), 본관은 은진이다. 어려서부터 이이를 사숙하였고, 20세 때에 김장생의 제자가 되었다. 인조 2년(1624) 진사가 된 뒤 학행으로 천거되었.. 더보기 동방18현 18) 문순공 박세채 18. 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采, 1631 - 1695) 서배향(西配享) 제9위(第九位) 문순공 박세채 厚齋先生集卷之四十四 行狀.pdf 자는 화숙(和叔), 호는 현석(玄石), 남계(男溪),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그는 명문가에서 태어났는데, 증조부 응복은 대사헌이며, 조부 동량은 형조판서이며, 신흠의 .. 더보기 동방18현 15) 문경공 김집 15. 문경공 김집(文敬公 金集, 1574 - 1656) 동배향(東配享) 제8위(第八位) 515 신독재 김집 - 동춘당 21 시장.pdf 본관은 광산, 자는 사강(士剛), 호는 신독재(愼獨齋), 시호는 문경(文敬)이며, 부친은 문묘에 배향된 김장생이며, 모친은 창녕 조씨이다. 8세에 송상현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나 학통은 .. 더보기 동방18현 14) 문열공 조헌 14. 문렬공 조헌(文烈公 趙憲, 1544 - 1592) 서배향(西配享) 제7위(第七位) 514 중봉 조헌 행장 - 우암 송시열.pdf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 도원, 후율, 본관은 백천이다. 집이 가난했지만 열심히 공부하였고, 어려서부터 매우 효성스러웠다. 명종 20년(1565) 성균관에 입학하였고, 2년 후 식.. 더보기 동방18현 13) 문원공 김장생 13.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1548 - 1631) 동배향(東配享) 제7위(第七位) 513 사계 김장생 행장 - 우암 송시열.pdf 자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선조 11년(1578)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이 되었으며, 동왕 14년 부친인 김계휘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왔다. 동.. 더보기 동방18현 12) 문간공 성혼 12.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1535 - 1598) 서배향(西配享) 제6위(第六位) 512 우계 성혼 - 김상헌 찬.pdf 자는 호원, 호는 우계(牛溪), 묵암(黙庵), 본관은 창녕이다. 명종 6년(1551) 생원, 진사 초시에는 모두 합격했으나 복시에 응시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명종 9년(1554)에 같은 고을의 .. 더보기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