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論語)/새소식(공지사항)

공기 2562년 춘기석전 봉행

공기2562년 춘기석전 봉행

양근향교 대성전에서

 

공기2562(신묘)년 3월 13일(日) 오전 11시 양근향교(전교 민영근) 대성전에서 양평관내 유림 1백50여명이 참례한 가운데 춘기석전(春期釋奠)을 봉행했다.

 

 

이날 춘기석전은

 

■ 奠幣禮(행전폐례) : 알자가 초헌관을 인도하여 대성지성문성왕 성위 앞에 나아가 세 번 향(삼상향)을 사르고, 폐백(幣帛, 폐비)을 올립니다. 이어 연국복성공 안자와 성국 종성공 증자, 기국 술성공 자사, 추국 아성공 맹자 성위에 각각 분향하고 폐백을 올리는 의례.

 

 

 

 

■ 初獻禮(행초헌례) : 대성지성문선왕 성위 앞에 나아가 제주(예제(醴齊))를 올리고 대축이 축문을 읽습니다.

 

     
檀君紀元 四千三百四十四年 辛卯 二月 己未 朔 初九日 丁卯 楊根鄕校 顧問 趙讚熙 敢昭告于
   大成至聖文宣王 伏以維王 道冠百王 萬世宗師 玆値上丁 精연是宜  謹以 牲幣醴齊
 자盛庶品 式陳明薦以
   先師  연國復聖公  성國宗聖公 沂國述聖公 鄒國亞聖公 配享 宋朝二賢 我國十八賢 從 尙

 

 

 

    이어 연국복성공 안자, 성국종성공 증자, 기국술성공 자사, 추국아성공 맹자 성위에 나아가 각각 술잔을 올리는 의례입니다.

 

■ 亞獻禮(행아헌례) : 다음으로 알자의 인도로 아헌관이 나아가 오성위 전에서 분향및 헌작을 합니다. 

 

 

 

■ 終獻禮(행종헌례) : 이어 종헌관이 아헌례와 같이 의례를 진행합니다.

■ 分獻禮(행분헌례) : 다음으로 동종향 분헌관과 서종향 분헌관이 송조2현과 동국 18현에 대한 의례를 진행하고 제자리(강복위)로 돌아 오는 절차입니다.

 

 

■ 飮福禮(행음복례) : 알자가 초헌관을 인도하여 음복하는 장소로 나아가 술과 포를 받아 음복을 합니다. 이때 헌관과 참례자 전원이 사배를 진행하는 의례 절차입니다.

 

 

■ 望燎禮(행망요례) : 대축이 축문과 폐비를 가져와 초헌관이 망요례 장소에서 소각하는 의례 절차입니다. 이어 알자가 초헌관에서 춘기석전이 끝났음을 알리고(예필) 헌관을 인도하여 밖으로 나아가는 의례 절차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