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근향교의 역사를 더듬어 보는 곳(2)
1999년 양근향교지 발간 양근향교의 내력
楊 根 鄕 校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 817-1번지 교촌(校村)부락 북쪽에 남향(南向)으로 자리 잡은 양근향교는 6.25때 자료 분실로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11대 중종(中宗, 1506~1544) 때 건립하였다고 전하여진다. 양근향교는 전학후묘형(前學後廟型)으로 남북축상(南北軸上)에 명륜당(明倫堂)과 대성전(大成殿)이 배치 되어 있으나 현재의 건물은 창건 당시의 것은 아니며 중건(重建)되고 보수(補修)되어 많은 변형을 가져왔다.
모든 건물은 맞배지붕에 한식(韓式) 골기와를 얹었으며, 다른 곳의 향교들과 비교할 때 전모를 갖춘 짜임새 있는 향교로서 건물 배치나 건축 양식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홍살문을 지나 외삼문(外三門)을 거쳐 경내(境內)로 들어가면 중앙에 명륜당이 있고, 그 안쪽으로 동․서재(東․西齋)가 배치되어 있으며, 내삼문(內三門)에 들어서면 중앙에 대성전이 있고, 그 앞쪽으로 좌우(左右)에 동․서무(東․西廡)가 건립되어 있다.
명륜당은 축대(築臺)위에 세워진 정면 4간(間), 측면 2간의 규모의 건물로 좌․우측에는 방풍판(防風板)을 달았다. 내삼문은 솟을대문으로 측면 1간씩인데 높은 대지(臺地)위에 세워졌다. 동․서재는 정면 4간, 측면 1간 규모로 측면 좌․우편(左․右便)은 창호(窓戶)를 개설하였다.
양근향교는 경기도 지정 문화재 자료 제19호(1983. 9. 19 지정)로 본전(本殿)인 대성전에는 공자, 안자, 증자, 자사, 맹자, 설총, 최치원, 정호, 주희, 안유,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혼,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열, 송준기, 박세채 등 25인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으며, 매년 춘향(春享)은 음력 2월 정초일(丁初日)에, 추향(秋享)은 음력 8월 정초일(丁初日)에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