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무류(有敎無類) [有 : 있을 유 / 敎 : 가르칠 교 / 無 : 없을 무 / 類 : 무리 류]
가르침만 있을 뿐 가르치는 대상에 차별을 두지 않는다는 뜻. 즉 가르치는 사람은 그가 배우고자 하는 의지만 있다면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에 상고나없이 가르쳐야 한다는 말이다. (출전: 논어. 위령공편)
위령공편을 보면
<衛靈公 第十五>
衛靈公問陳於孔子. 孔子對曰, “俎豆之事, 則嘗聞之矣, 軍旅之事, 未之學也.”
衛나라의 靈公이 공자에게 陳法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는 "俎豆(제사때 고기 종류를 담는 제기)에 대한 일은 일찍이 들었습니다만 군사에 관한 일은 아직 배우지 못하였습니다."고 하시고,
明日遂行, 在陳絶糧, 從者病, 莫能興. 子路慍見曰, “君子亦有窮乎” 子曰, “君子固窮, 小人窮斯濫矣.”
다음날 마침내 떠나셨다. 陳나라에 계실 때 양식이 떨어져, 따르는 자들이 쇠약하여 일어나지 못하였다. 子路가 화가 나서 뵙고 말하였다. "군자도 역시 곤궁함이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라야 본래 곤궁할 수 있으니, 소인은 곤궁하면 곧 넘친다."
子曰, “賜也, 女以予爲多學而識之者與?” 對曰, “然, 非與?” 曰, “非也, 予一以貫之.”
공자께서 말씀하셨다.“賜也 너는 내가 많이 배워서 기억하고 있는 자라고 생각하느냐?” 자공이 대답하였다. “그렇습니다. 아닙니까?”“아니다. 나는 하나로써 꿰뚫고 있다.”
子曰, “由! 知德者鮮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由야 德을 아는 자는 드물다.”
子曰, “無爲而治者其舜也與? 夫何爲哉? 恭己正南面而已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힘이 없이 다스리는 자는 舜임금이로다! 무엇을 하였겠는냐? 자기를 공손히 하고 똑바로 남쪽을 향하고 있을을 뿐이다.”
子張問行. 子曰, “言忠信, 行篤敬, 雖蠻貊之邦, 行矣. 言不忠信, 行不篤敬, 雖州里, 行乎哉? 立則見其參於前也, 在輿則見其倚於衡也, 夫然後行.” 子張書諸紳.
자장이 받아들여지는 것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이 진실되고 신실하여 행실이 돈독하고 공경스러우면 비록 만맥(蠻貊)의 나라라 하더라도 받아들여질 수 있거니와, 말이 진실되거나 신실하지 아나하며 행실이 돈독하거나 공경스럽지 아니하면 비론 주리라 하더라도 받아들여지겠는가? 일어서면 그것이 앞에 참여하고 있는 것을 보고 수레에 있으면 그것이 멍에에 기대어 있음을 보아야 하는 것이니. 그런 뒤에라야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이다.”자장이 띠에 썼다.
子曰, “直哉史魚! 邦有道, 如矢, 邦無道, 如矢. 君子哉蘧伯玉! 邦有道, 則仕, 邦無道, 則可卷而懷之.”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곧 도다 사어여! 나라에 도가 있을때도 화살 같았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도 화살 같았다. 군자로다 거백옥(蘧伯玉)! 나라에 도가 있으면 벼슬하고 나라에 도가 없으면 거두어 감출 수 있었다”
子曰, “可與言而不與言, 失人, 不可與言而與之言, 失言. 知者不失人, 亦不失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더불어 말을 해야 할 때 더불어 말을 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는 것이요. 더불어 말하지 않아야 할 때 더불어 말하면 말을 잃는 것이니. 지혜로운 자는 사람을 잃지 아니하며 또한 말을 잃지 않는다.”
子曰, “志士仁人, 無求生以害仁, 有殺身以成仁.”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志士와 仁人은 삶을 구하여 仁을 해침이 없고, 몸을 죽여서 仁을 이룸이 있다.”
子貢問爲仁. 子曰, “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 居是邦也, 事其大夫之賢者, 友其士之仁者.”
자공이 仁을 하는 것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工人이 그 일을 잘하려고 하면 반드시 먼저 그 연장을 예리하게 하는 것이니. 그 나라에 살 때는 그 나라의 대부 중에서 현명한 자를 받들고. 그 나라의 선비 중에서 仁한 자를 벗삼아야 한다.”
顔淵問爲邦. 子曰, “行夏之時, 乘殷之輅, 服周之冕, 樂則韶舞. 放鄭聲, 遠佞人. 鄭聲淫, 佞人殆.”
안연이 나라를 다스리는 것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夏의 때(책력)를 행하며, 은나라의 수레를 타며, 주나라의 면류관을 쓰며, 음악은 韶舞를 할 것이고, 정나라 음악을 추방하며, 말재주 있는 사람을 멀리 할 것이니, 정나라 음악은 음탕하고, 말재주 있는 사람은 위태롭다.”
子曰, “人無遠慮, 必有近憂.”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먼 헤아림이 없으면 반드시 가까운 근심이 있다.”
子曰, “已矣乎!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만 두자꾸나! 나는 德을 좋아하기를 色을 좋아하듯이 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다.”
子曰, “臧文仲其竊位者與! 知柳下惠之賢而不與立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臧文仲은 그 지위를 훔치는 자로다. 柳下惠의 현명함을 알고서도 더불어 조정에 서지 아니하였다.”
子曰, “躬自厚而薄責於人, 則遠怨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몸소 자책하기를 두터이 하고, 남에게 요구하기를 엷게 하면, 원한을 멀리할 수 있을 것이다.”
子曰, “不曰如之何, 如之何者, 吾末如之何也已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어찌할까 어찌할까 하지 않는 자는, 나도 어찌할 수 없음을 따름이다.”
子曰, “羣居終日, 言不及義, 好行小慧, 難矣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여럿이 거처할 때 종일토록 말이 의로운 데에 언급되지 아니하고, 작은 지혜를 행하기 좋아한다면 어렵도다.”
子曰, “君子義以爲質, 禮以行之, 孫以出之, 信以成之. 君子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의로써 바탕을 삼고, 예로써 행하며, 孫으로써 나타내며, 信으로써 이루나니 공자답도다.!”
子曰, “君子病無能焉, 不病人之不己知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자기의 무능함을 병으로 여기고, 남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병으로 여기지 않는다.”
子曰, “君子疾沒世而名不稱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세상을 마치도록 이름이 일컬어지지 아니하는 것을 싫어한다.”
子曰,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자기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남에게서 구한다.”
子曰, “君子矜而不爭, 羣而不黨.”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자긍심이 있지만 다투지 아니하고 무리를 지어서 살되 당파를 형성하지 아니한다.”
子曰, “君子不以言擧人, 不以人廢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말만으로 사람을 쓰지 아니하며, 사람이 나쁘다 하여 좋은 말까지 버리지는 않는다.”
子貢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 “其恕乎! 己所不欲, 勿施於人.”
자공이 물었다. “한마디 말로써 종신토록 행할 만한 것이 있습니까?”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恕(서)일 것이다.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이다.”
子曰, “吾之於人也, 誰毁誰譽 如有所譽者, 其有所試矣. 斯民也, 三代之所以直道而行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 남에 대해서 누구를 헐뜯고 누구를 칭찬하겠는가? 만약 칭찬할 것이 있으면 시험해 봄에 있을 것이다. 이 백성은 三代에 곧은 도로서 행했던 사람이다.”
子曰, “吾猶及史之闕文也. 有馬者借人乘之, 今亡矣夫!”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그래도 사관이 글을 빼놓는 것과, 말을 가진 자가 남에게 빌려주어 타게 하는 것을 보았는데, 지금에는 없어졌구나!”
子曰, “巧言亂德. 小不忍, 則亂大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교묘하게 꾸민 말은 德을 어지럽히고, 작은 것을 참지 못하면 큰 일을 어지럽힌다.”
子曰, “衆惡之, 必察焉, 衆好之, 必察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며 많은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 보아야 한다.”
子曰, “人能弘道, 非道弘人.”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도를 넓힐 수 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힐 수 있는 것이 아니다.”
子曰, “過而不改, 是謂過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허물이 있어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허물이라 한다.”
子曰, “吾嘗終日不食, 終夜不寢, 以思無益, 不如學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 일찍이 종일토록 먹지 않고 밤새도록 자지 않고서 생각하였으나 유익함이 없었다. 배우는 것만 같지 못하였다.”
子曰, “君子謀道不謀食.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祿在其中矣. 君子憂道不憂貧.”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도를 도모하고 밥을 도모하지 않는다. 밭을 갈면 밥이 그 가운데 있고, 배우면 祿이 그 가운데 있지만, 군자는 도를 걱정하고 가난함을 걱정하지 않는다.”
子曰, “知及之, 仁不能守之, 雖得之, 必失之. 知及之, 仁能守之. 不莊以涖之, 則民不敬. 知及之, 仁能守之, 莊以涖之, 動之不以禮, 未善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지혜가 거기에 미치더라도 仁”이 그것을 지킬 수 없으면 비록 얻었더라도 반드시 잃는다. 지혜가 거기에 미치며, 仁이 그것을 지킬 수 있어도 정중함으로서 임하지 아니하면 백성들이 공경하지 아니한다. 지혜가 미치며, 인이 지킬 수 있으며, 장중함으로서 임하더라도 움직일 때 禮로서 하지 아니하면 좋지 못하다.
子曰, “君子不可小知而可大受也, 小人不可大受而可小知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작은 것에 대해서 알 수는 없으나 크게 받을 수 있고, 소인은 크게 받을 수는 없으나 작은 것에 대해서 알 수 있다.”
子曰, “民之於仁也, 甚於水火. 水火, 吾見蹈而死者矣, 未見蹈仁而死者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성들이 仁에 있어서 물이나 불에 있어서보다 더하다. 물과 불은 내가 밟다가 죽는자를 보았으나, 仁은 밟다가 죽는 자는 보지 못하였다.”
子曰, “當仁, 不讓於師.”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仁에 당하여서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아니한다.”
子曰, “君子貞而不諒.”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시비를 가려서 옳은 것을 따르고, 무조건 믿지는 아니한다.”
子曰, “事君, 敬其事而後其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임금을 섬기되 그 일을 경건하게 처리하고 그 먹는 것(祿)은 뒤로 하여야 한다.”
子曰, “有敎無類.”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가르침은 있으나 종류는 없다.”
子曰, “道不同, 不相爲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가 같지 않으면 서로 도모하지 않아야 한다.”
子曰, “辭達而已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은 전달하는 것 일 뿐이다.”
師冕見, 及階, 子曰, “階也.” 及席, 子曰, “席也.” 皆坐, 子告之曰, “某在斯, 某在斯.” 師冕出. 子張問曰, “與師言之道與?” 子曰, “然, 固相師之道也.”
樂師인 冕이 뵈러 왔을 때 섬돌에 이르자 공자께서 “섬돌입니다”하셨고, 자리에 이르자 “자리입니다.”하셨고, 모두 앉자, 공자께서 그에게 “아무개는 여기에 있고, 아무개는 여기에 있습니다.”하고 알리셨다. 악사 면이 나가자 子張이 물었다.“악사와 말씀하실 때의 도리입니까?”공자께서 말씀하였다.“그러하다. 본시 악사를 도와주는 도리이다.”
어질 仁자의 의미를 살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禮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義를 배울 수 있는 章인 것 같습니다.
[논어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번역참조]
'논어(論語) > 자료실(有敎無類)'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충의 도의 선양대회 자료집 (0) | 2012.01.04 |
---|---|
서예교실(1) (0) | 2011.10.31 |
양근향교의 역사를 더듬어 보는 곳(5) (0) | 2010.11.26 |
양근향교의 역사를 더듬어 보는 곳(4) (0) | 2010.11.26 |
양근향교의 역사를 더듬어 보는 곳(3) (0) | 2010.11.24 |